통통박사의 발명이야기

타이틀 이미지 TRIZ 기법을 이용한 통통박사의 발명이야기 동영상
※리스트를 클릭하시면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통통박사의 발명이야기
통통박사의 발명이야기
1 분할(Segmentation) 도서관편
2 추출(Separation) 놀이터편
3 국소적 성질(Local Quality) 크리스마스편
4 비대칭(Asymmetry) 이부자리편
5 포개기(Nesting) 캠핑편
6 반대로 하기(Reverse) 수영연습편
7 차원변경(Dimension Change) 영화관편
8 셀프서비스(Self-service) 스케이트편
9 다용도(Multi-functionality ) 이사편
10 선행조치(Preliminary Action) 도배편
11 역동성(Dynamic parts) 자전거하이킹편
12 해를 이롭게(Convert Harmful to Useful) 쓰레기장편
13 매개체(Intermediary) 우주탐사편
14 얇은 막이나 얇은 필름 활용(Flexible shells and Thin films) 점심시간편
15 통합(Merging) 효도편
16 사전예방(Beforehand Compensation) 소풍편
17 구형화(Curvature Increase) 운전편
18 진동(Vibration) 요리편
19 물리적 모순
20 기술적 모순

※‘TRIZ’란 러시아어인 ‘Teoriya Resheniya Izobreatatelskikh Zadatch’의 줄임말로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상기법을 말합니다.

영어로는 ‘Theory of solving inventive problems’ 혹은 ‘Theory of inventive problems solving(TIPS)’으로 풀이합니다.

이는 러시아의 겐리히 알츠슐러(Genrich Altshuller)에 의해 제창된 발명문제 혹은 창의문제의 해결을 위한 체계적 방법론입니다.

창의적 문제해결 방법 중 트리즈(TRIZ)는 전 세계적으로 입지를 굳혀가며 여러 분야에 걸쳐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40가지의 발명원리, 과학적 효과, 표준해결책 등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현재 창의적 과학·기술·콘텐츠 등 지식재산 집약 산업이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으로 부각하는 가운데, 트리즈를 초·중·고에서뿐만 아니라 기업체에서 활용하는 등 실제 활용 면에서는 한국이 세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맨 위로